1. 농업
조선 초기 농업은 전제개혁을 통한 농민들의 생산의욕 증가와 신진사대부들의 영농법 및 시비법 연구, 국가의 적극적인 권농정책 등에 힘입어 농업 생산량이 크게 증가한 시기였습
니다.
당시 시비법으로는 콩과 녹두를 심어서 갈아 엎은 뒤 썩혀서 비료로 만들어 사용하는 '녹비법' 이 개발되었으며, 인분과 재를 사용하기도 하면서 토지의 비옥도가 상승하였습니다.
향상된 토지의 비옥도는 밭에서 조, 콩, 보리의 '2년 3작'이 가능하게 하였으며, 논에서는 벼와 보리의 '2모작'을 할 수 있었습니다.
농사를 지으려면 '물'의 공급도 중요한데, 조선 초 하천을 막아 '보'를 쌓는 수리시설의 개선으로 전국에 3천여개의 저수지가 생겨났으며, '수차'를 활용하여 논에 물을 대는 '관개기술'도 발전을 하였습니다. 그리하여 이전보다 벼를 재배하는 논의 면적이 한층 더 늘어나게 되었습니다.
벼 품종의 개량도 많이 이루어지게 되어서 당시에 21종의 벼가 재배 되었으며, 그 밖에 조, 콩, 보리, 기장, 피, 수수 등 여러 종류의 곡식을 재배할 수 있었습니다.
고려 말, 문익점에 의해 들여온 목화의 경우 경상도 단성에서 재배되기 시작하여 함경도를 제외한 전국에서 재배가 이루어질 수 있게 됨에 따라서 당시 목화솜을 이용하여 의복의 혁명을 가져오게 되기도 합니다. 특히 '무명'은 옷감으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배의 돛으로 사용되기도 하였으며 '화폐'의 역할도 하여 상업 발달을 촉진시키기도 하였습니다.
세종 대에는 세계 최초로 강우량을 측정하는 '측우기' 가 발명되었으며, '농사직설', '금양잡록' 등과 같은 농서가 편찬되어 농업 발달에 크게 이바지하였습니다.
'농사직설'의 경우 세종의 명령으로 전국 각지의 경험 많은 농부들로부터 실제 농사 경험을 취재하여 정리한 것으로 각종 곡식의 재배방법이 지역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음을 알려주어 지역별로 농사를 짓는데 큰 도움을 주었습니다.
훗날 16세기에 이르러서는 지방의 사림들이 중국 강남의 농법을 받아들여 '수전농법'을 더욱 발전시키게 됩니다.
2. 수공업
조선 초기 수공업은 크게 개인수공업과 관청 수공업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나라에서는 개인 수공업자와 사원 등에 소속된 수공업자들을 '공장안'에 등록하여 서울과 각 지방 관청에 소속을 시켜서 관청에서 필요한 물품들을 제조하도록 하였습니다.
당시 관청에서는 무기(군기시), 의복(상의원), 음식과 그릇(사옹원), 토목공사(선공감), 서적출판(교서관), 종이(조지서) 등을 만들었으며, 이들 분야에서 장인들이 가장 많이 배정이 되었습니다.
공장안에 등록된 장인들은 1년에 몇 달 정도 기간을 정해놓고 나라에 의무적으로 봉사를 해야 했습니다. 그리하여 해당 기간 동안 교대로 관청에 나가서 관청의 수요품을 제작하고 소정의 급료를 받았으며, 실적이 좋고 근무기간이 오래된 장인들의 경우에는 최고 종 6품의 유외잡직의 벼슬을 주고 녹봉을 지급하기도 하였습니다.
장인들은 관청에 소속되어 정해진 기간의 일을 마치면 시장에서 상인들을 상대로 물건을 자유롭게 만들어서 판매할 수 있는 경제활동을 하였습니다. 그 대신에 국가에 일정 수준의 세금(공장세)을 납부하였습니다.
일반 농민들의 경우에도 가내수공업을 통해서 무명, 모시, 베, 명주, 도기, 종이 등을 만들어 나라에 공물로 바치기도 하고, 시장에 나가 팔기도 하였습니다.
3. 상업
조선 초기에는 '무본억말'이라 하여 '농업'을 산업의 근본으로 우선적으로 장려하고 상업은 '말업'이라 하여 억제 하는 정책을 펼쳤습니다. 하지만 농업과 수공업이 발전하면서 자연스럽게 상업도 발달을 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상업은 주로 인구가 많은 지역에서 자연스럽게 발달을 하기 시작하였습니다. 따라서 당시 수도인 서울은 인구가 10만명 수준에 이르는 대도시로서 상업의 중심지였습니다.
태종 대에는 서울의 중심가인 '종로'와 '남대문'에 '시전'을 조성하여 상인들이 활동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기도 하였습니다. 또한 서울 이외의 지역인 개성, 평양, 전주와 같은 대도시에서도 시전과 비슷한 성격의 상가들이 형성 되었습니다.
당시 시전은 한 상점에서는 한 가지 물품만을 독점적으로 판매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였으며, 그 대신에 국가에 '공랑세'를 바치고 국역의 형태로 궁궐과 관청에 필요한 물품을 조달하도록 하였습니다.
참고로 서울의 시전은 16세기 이후로 '명주, 종이, 어물, 모시, 삼베, 무명'을 파는 6개의 상점이 가장 번성을 하게 되면서 이를 '6의전' 이라 불렀습니다.
지방의 경우에는 '보부상'이라 불리는 봇짐장수와 등짐장수가 각종 일용잡화, 소금, 고기, 그릇, 문방구 등을 가지면서 판매를 하였습니다.
이후 15세기 말부터는 보부상에만 경제활동을 의존하지 않고 농민들이 직접 잉여 생산물을 '읍'에 가지고 와서 판매를 하게 되었는데, 이를 '장시' 또는 '장문'이라 하였습니다.
이러한 장시는 점차적으로 여러 지역으로 확산되어 나갔으며 5일장과 같이 며칠에 한 번씩 정기적으로 장이 열리는 정기시장으로 발전을 하게 됩니다. 장시에서는 농민, 보부상, 공장들이 서로 모여 농산물, 수공업 제품, 수산물, 약재 등을 판매하였습니다.
상업활동에서 사용되었던 화폐의 경우, 나라에서는 닥나무 종이로 만든 '저화' 나 구리로 만든 '상평통보'를 만들어 유통을 시켰으며, 지방에서는 농민들이 쌀이나 무명을 보부상과의 거래 등에서 화폐처럼 사용을 하였습니다. 이러한 무명은 실물의 가치가 있었기 때문에 '포화'라고 불리기도 하였습니다.
끝으로 당시 정부에서는 '경시서'라는 기관을 두어서 시장의 물가를 안정시키고 상인들이 폭리를 취하는 것을 감시하는 등 시장경제와 통제경제를 혼합한 경제정책을 펼치기도 하였습니다.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39. 조선 초기 지리서와 훈민정음 (0) | 2022.06.28 |
---|---|
38. 조선 초기 문화 (0) | 2022.06.27 |
36. 조선의 군사 제도 (0) | 2022.06.24 |
35. 조선의 교육과 과거제도 (0) | 2022.06.23 |
34. 조선의 신분 제도 (0) | 2022.06.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