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관련

[성장성비율] 총자산 증가율, 매출액 증가율, 영업이익 증가율, 순이익 증가율에 대해서 알아보자.

by 늦게차는큰그릇 2023. 5. 7.
반응형

 

 

1. 정의


성장성비율은 기업의 외형 성장을 측정하는 재무비율이며, 전년도에 비해서 어느 정도 증가하였는지 분석할 때 사용한다. “총자산증가율, 매출액증가율, 영업이익증가율, 순이익증가율등이 대표적이다.

 

2. 식


총자산증가율 = (기말총자산 – 기초총자산) / 기초총자산
매출액증가율 = (당기매출액 – 전기매출액) / 전기매출액
영업이익증가율 = (당기영업이익 – 전기영업이익) / 전기영업이익
순이익증가율 = (당기순이익 – 전기순이익) / 전기순이익

 

3. 예


[삼성전자의 2018~2022년 성장성 지표 분석]

[억원, %]

연도 매출액 증감 영업이익 증감 당기순이익 증감 총자산 증감
2017 2,395,753.8   536,450.4   421,867.5   3,017,520.9  
2018 2,437,714.2 1.75 588,866.7 9.77 443,448.6 5.12 3,393,572.4 12.46
2019 2,304,008.8 -5.48 277,685.1 -52.84 217,388.7 -50.98 3,525,645.0 3.89
2020 2,368,069.9 2.78 359,938.8 29.62 264,078.3 21.48 3,782,357.2 7.28
2021 2,796,048.0 18.07 516,338.6 43.45 399,074.5 51.12 4,266,211.6 12.79
2022 3,022,313.6 8.09 433,766.3 -15.99 565,540.8 41.71 4,484,245.1 5.11

삼성전자는 지속성장기업이라는 기대에도 불구하고 2019년도의 경우에는 영업이익증가율이 역성장 하였다.

 

기본적으로 2018년 영업이익이 너무 좋았고, 2019년 반도체 수요 감소 및 가격 하락, 스마트폰의 프리미엄시장 축소,

중저가 제품 경쟁 심화 등의 영향을 받은 탓이다.

 

이후 반등 하지만, 2022년 글로벌 경기침체로 반도체 수요감소 및 재고증가로 반도체 가격 급락으로 영업이익은 다시 역성장한다.

 

그리고 2023년 현재까지 반도체 시장의 침체는 지속 중이다. 이처럼 성장성비율을 통한 단기변화를 인지하고 세부내용을 파악할 수 있어야 투자에 적절한 대비가 가능할 것이다.

 

반응형

4. 의의


꾸준하게 성장을 하고 있던 기업이 최근에 급격하게 성장, 정체 또는 역성장 하면, 해당 기업의 연간평균실적(성장률)보다전기 대비 당기를 비교하는 것이 더 의미 있을 수 있다.

 

큰 변화 없이 꾸준한 실적을 내는 기업을 분석할 때에는 연평균성장률이 더 의미가 있다.

 

 

5. 주의사항


통상적으로 총자산의 증가는 매출액과 이익의 증가를 동반하지만 반드시 그렇지는 않다.

수십년 전 매입했던 토지를 당기에 재평가를 했다면 매출이나 영업이익과 상관없이 해당 자산은 급격하게 증가할 것이다.

 

또한 매출액증가율만큼 영업이익이나 순이익의 증가율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손익계산서를 면밀하게 분석할 필요가 있다. 기업 본연의 활동을 통해서 영업이익이나 순이익이 동반되지 않는다면, 매출액 증가는 속 빈 강정과 같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과거의 성장이 미래의 성장을 보장하지 않는다.

물론 오랜 업력을 가지고 꾸준하게 성장을 해온 기업이라면, 앞으로도 지속적인 성장을 할 확률이 높다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지금과 같이 급변하는 시대의 복잡한 환경에서는 과거의 실적을 참고는 하되, 미래는 현재 드러난 무수히 많은 정보들을 분석하여 대비할 수 있어야 한다. END

 

「박 회계사의 재무제표 분석집」 중에서

 

[이전 글 다시보기]

2023.04.30 - [주식용어] - [PER] "주가수익비율(Price Earning Ratio)" 에 대해 알아보자.

 

[PER] "주가수익비율(Price Earning Ratio)" 에 대해 알아보자.

1. 정의 PER 은 주식가격(Price)을 주당순이익(EPS, Earning Per Share))으로 나눈 것이다. PER을을 통해서 기업의 주식가격이 주당순이익의 ‘몇 배’ 인지 파악할 수 있으며, 기업의 주당순이익에 대한 시

latebloomer2022.com

2023.05.01 - [주식용어] - [PBR] "주가순자산비율(Price Book-value Ratio)" 에 대해 알아보자.

 

[PBR] "주가순자산비율(Price Book-value Ratio)" 에 대해 알아보자.

1. 정의 PBR 은 주식가격(Price)를 주당순자산(BPS, Book-value Per Share)으로 나눈 것이다. PBR 을 통해서 기업의 주식가격이 주당순자산의 ‘몇 배’ 인지 파악할 수 있으며, 기업의 주당순자산에 대한 시

latebloomer2022.com

2023.05.02 - [주식용어] - [ROE] "자기자본이익률(Return On Equity)" 에 대해 알아보자.

 

[ROE] "자기자본이익률(Return On Equity)" 에 대해 알아보자.

1. 정의 ROE는 투하한 자기 자본(자본금,주식발행초과금 등 주주지분) 대비 얼마만큼(몇 %)의 이익을 내는지 나타내는 지표이다. 이는 기업이 자기 자본을 활용하여 1년간 얼마를 벌었는가를 보여

latebloomer2022.com

2023.05.03 - [주식용어] - [ROA] "총자산이익률(Return On Assets)" 에 대해 알아보자.

 

[ROA] "총자산이익률(Return On Assets)" 에 대해 알아보자.

1. 정의 총자산을 활용하여 영업활동을 통한 영업이익 또는 당기순이익이 얼마만큼(몇 %) 되는지 나타내는 지표이다. 2. 식 ROA = 당기순이익 (또는 영업이익) / 평균 총자산 분자는 1년 동안의 이익

latebloomer2022.com

2023.05.04 - [주식용어] - [EV/EBITDA] "기업가치 / 영업활동을 통한 현금성 이익" 에 대해 알아보자.

 

[EV/EBITDA] "기업가치 / 영업활동을 통한 현금성 이익" 에 대해 알아보자.

1. 정의 기업가치(EV)를 영업활동을 통해 벌어들인 현금성 이익(EBITDA)으로 나눈 수치이다. 기업가치가 순수한 영업활동을 통한 이익의 몇 배인가를 알려주는 지표이다. ※ EV = 주식가격*발생주식

latebloomer2022.com

2023.05.05 - [주식용어] - [ROS] 매출액이익률

 

[ROS] 매출액이익률

1. 정의 매출액에 비하여 얼마만큼의 이익을 만들어내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분모에는 매출액을, 분자에는 수익을 나타내는 “매출총이익,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을 각각 대입하여

latebloomer2022.com

반응형

댓글